본문 바로가기
놓친 복지 찾기

2025 재산세, 언제 얼마를 내야 할까? – 내 집 공시지가 확인과 재산세 계산을 한번에!

by 사람 향기 2025. 5. 22.
반응형

 

매년 7월과 9월이 되면 재산세 고지서를 받고 궁금해지는 것, 바로 “얼마를 내야 하지?”입니다. 내 재산의 정확한 공시가격을 아래의 국토교통부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재산세, 누가 언제 내야 하나요?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 건물, 토지 등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납부 시기는 자산 종류에 따라 나뉩니다:

  • 주택: 7월과 9월, 각각 50%씩 분할 고지
  • 건축물, 선박, 항공기: 7월 고지
  • 토지: 9월 고지

※ 단, 세액이 20만 원 이하의 경우 7월에 전액 고지

 

 

2. 세금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 과세표준 산정

재산세는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로 과세표준이 정해지니, 국토교통부 한국부동산원에서 자신의 정확한 공시가격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주택: 공시가격 × 60%
  • 건물, 토지: 개별공시가격 × 70% (건물은 시가표준액 기준)

 

 

 

▶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 또는 단일세율이 적용됩니다. 아래의 '재산세 계산기'에서 정확한 자신의 납부액을 계산해 보세요. (재산세 과세 기준표 첨부)

 

 

주택 재산세 세율 (과세표준 기준)

과세표준 구간세율

6천만 원 이하 0.1%
6천만 원 ~ 1억5천만 원 0.15%
1억5천만 원 ~ 3억 원 0.25%
3억 원 초과 0.4%

※ 1세대 1주택자는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일 경우 세율 인하 혜택 있음

3. 절세 팁은 없을까?

  • 1세대 1주택자는 등록 시 세율 감면 및 종부세 배제 가능
  • 공시가격이 높은 경우 이의신청 및 공동명의 분할도 절세 전략
  • 소득이 낮거나 고령자라면 분할납부 신청도 고려
 

마무리

재산세는 매년 반복되지만, 매번 새롭게 느껴지는 세금입니다.
공시가격을 한 번 확인해 보고, 내 자산의 세율과 납부 시기를 정확히 파악해 두면 세금에 대한 부담도 줄어드니, 꼭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재산세, 언제 얼마를 내야 할까? – 내 집 공시지가 확인과 재산세 계산을 한번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