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월마감마다 헷갈리는 시급/일할/월환산 계산, 반올림 규칙, 지급일·소급 처리, 야간·휴일·연장 수당, 성과연봉 운영까지 한 문서에서 정리하였습니다. 지금 다운로드하여 회사 상황에 맞게 숫자만 바꿔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왜 지금 보수규정(계산·지급·수당·성과연봉)이 필요한가
보수 체계가 불명확하면 월말마다 계산 오류와 해석 차이가 발생합니다. 법적으로 명확한 양식에서 산식·지급일·반올림·예외까지 표준화하면 인수인계가 쉬워지고, 분쟁 가능성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특히 업무수당·연장/야간/휴일 수당과 성과연봉의 경계가 명확해져 커뮤니케이션이 수월합니다.
적용 범위와 용어 정의(통일 표현)
- 보수: 기본급 중심의 고정 급여. 수당·상여·성과급은 별도 규정.
- 통상임금/평균임금: 계산 근거가 되는 임금 개념. 포함/제외 항목은 급여규정과 동일 문구로 표기.
- 업무수당: 직책·자격·가족·교대·특수 등 직무/생활 보전 목적의 보완 급여.
- 지급일/마감일: 급여 산정 기간과 정산 시점. 공휴일 시 대체 기준 포함.
정의는 급여규정·연장근로수당·성과급 문서와 1자 단위까지 동일하게 유지하세요.
계산 방법 표준: 시급·일할·월환산·연환산
시급/일급(예시)
- 시급 = (통상임금 기준 금액) ÷ (회사 기준 시간)
- 일급 = (월 기준 금액) ÷ (회사 기준 일수)
- 기준 시간/일수는 회사 규정에 명시(예: 내부 기준값 사용)
월환산/연환산
- 월환산 = 연봉 ÷ 12 (또는 회사 기준 분할)
- 연환산 = 월급 × 12
- 입·퇴사/발령 시점은 일할 적용
Tip: 산식은 말로만 쓰지 말고 숫자 예시를 부록으로 제시하면 오류가 줄어듭니다.
반올림 규칙과 환산 기준
- 기본 원칙: 원단위 또는 천원단위 반올림(회사 선택) — 규정에 명시
- 일할·소급 시 반올림/절사 기준 통일
- 수당별 소수점 처리, 합산 후 반올림 vs 항목별 반올림 방식 고정
반올림 규칙은 급여 시스템 로직과 반드시 일치시켜야 합니다.
지급 기준: 지급일·마감·소급·정정
- 지급일: 예) 매월 ○일. 공휴일 겹치면 직전 영업일.
- 마감: 근태·수당 집계 마감일 명시, 마감 이후 접수분은 익월 소급.
- 정정: 오지급·과지급 발견 시 통지 → 상계 원칙, 필요 시 분할 상환.
- 증빙: 지급·정정의 근거 문서 목록(결재, 시스템 로그, 영수증 등).
업무수당 운영: 직책·자격·가족·교대·특수·시간외
공통 원칙
- 지급 요건·산정식·상한·증빙을 항목별로 명확히 표기
- 보직·자격 변동 시점과 연동, 중복 지급 기준 명시
예시 항목
- 직책수당: 보직 발령일부터, 보직 해제 시 당월 말까지
- 자격수당: 자격증 사본 등록 후 다음달부터 지급
- 가족수당: 연 1회 증빙 갱신, 중지 사유(취업·연령) 명시
- 교대·특수근무: 교대유형·특수근무 정의와 상한
- 시간외수당: 사전승인 원칙, 근무기록·승인서로 정산
연장·야간·휴일 수당 계산 로직(예시)
시급 산정(예시)
시급 = 통상임금 기준 금액 ÷ 회사 기준 시간
기준 시간은 내부 규정에 따릅니다.
가산 적용(예시)
- 연장: 시급 × (1 + 가산율)
- 야간: 시급 × (1 + 가산율)
- 휴일: 시급 × (1 + 가산율)
중복 가산 처리
연장과 야간·휴일이 겹칠 때는 회사 규정에 따라 해당 가산을 합산 적용하는 원칙을 문서로 명확히 합니다.
실무 포인트: 포함/제외 수당(식대·교통비 등) 여부를 통상임금 정의에서 먼저 확정하고, 숫자 예시를 부록으로 제공합니다.
성과연봉·성과급과의 관계 정리
- 보수(기본급)와 성과연봉/성과급은 목적과 산식이 다름
- 평가 결과 반영 시점: 보수는 발령/반영월, 성과급은 정산월
- 중복 보상 방지를 위한 캡/하한 규칙 안내
평가 문구·등급 체계는 관련 규정과 완전히 동일해야 합니다.
예외 처리: 전근·파견·휴직·징계·겸직
- 전근/파견: 직무 난이도·지역 보정, 적용 시점 명시
- 휴직: 무급/부분 유급 명시, 복직 시 원복/재산정 기준
- 징계: 경고·정직·감봉 시 감액 기준과 적용 기간
- 겸직/겸업: 보수 중복 방지 원칙과 신고 의무
중요: 예외 승인은 결재선과 사유 기록을 남겨야 재현성이 확보됩니다.
승인·증빙·보존(거버넌스)
- 승인 체계: 금액 구간별 결재 라인(부서장→인사→재무→경영)
- 증빙: 산식·근거 문서·시스템 로그·영수증 보관
- 보존: 열람 권한·보존 기간·파기 기준을 개인정보 문서와 연동
회사 맞춤 가이드
- 기준 시간/일수를 업종·근무형태에 맞게 확정
- 반올림 규칙을 시스템과 1:1 매핑
- 업무수당 표에 상한·중복 규칙을 숫자로 고정
- 리포트: 부서/개인별 수당·연장 사용 패턴 정기 점검
개정 시 시행일·경과 규정을 함께 공지하세요.
[무료 양식] 보수규정(호봉·승진·승급) — 연봉·직급·평가규정을 한번에
반응형
'회사, 기업 , 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양식] 보수규정(호봉·승진·승급) — 연봉·직급·평가규정을 한번에 (0) | 2025.10.13 |
---|---|
[PDF 무료] 스톡옵션관리규정 양식 -스톡옵션 규정 지금 내려받기 (0) | 2025.10.12 |
중소기업을 위한 인센티브 성과급 규정 양식 -최신 양식 무료다운로드 (0) | 2025.10.11 |
연장근로수당지급 규정 양식 무료 다운로드 -통상임금·가산율까지 한 번에 정리 (0) | 2025.10.10 |
급여규정 이렇게만 고치면 분쟁이 사라집니다 – 실무 반영 무료 양식 포함 (0) | 2025.10.09 |
회사 법인 차량을 운행한다면, 필수 준비 서류 – '차량관리규정' 무료 다운로드 (0) | 2025.10.07 |
법인차량이 있다면 반드시 구비해야 할 회사 양식 – '차량 및 자가운전 운영 규정' 무료 다운로드 (0) | 2025.10.06 |
회사에 숙소를 운영한다면? 필수 구비 서류 준비하기 – '직원숙소 관리 규정' 무료 다운로드 (0) | 2025.10.04 |